2019년 4월 22일 월요일

[프로젝트]ESP8266 Spec 요약



- ESP8266이 지원하는 프로토콜은 802.11b/g/n이다

- 2.4Ghz 대역을 지원한다.

- TX power: 사용자가 신호를 보낼때 신호의 세기?를 말하는 것 같다.
802.11b의 경우 +20dBm, 802.11g는 +17dBm, 802.11n은 +14dBm를 지원한다.

-RX sensitivity: 받을때 멀리서 온 무선신호를 받아야하므로 채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간섭과 왜곡으로 인해 신호의 전력이 작아지게 되고 이 작은 신호를 받아야 하므로 RX Sensitivity라고 표현한것 같다.
802.11b의 경우 속도가 11Mbps인데 이는 CCK변조를 할 경우의 속도이고
802.11g는 기본적으로 OFDM으로 다중화를 하기 때문에 54Mbps(이론치)의 속도가 나온다.

- dBm은 무엇인가?



ESP 8266 Block Diagram


 *RF balun은 RF Balance/Unblance를 말한다.

변압기의 개념 balun

들어오는 신호를 받아 ic에 맞는 신호로 증폭/감쇠를 하여 ADC해주는 단으로 넘겨준다.

중간에 스위치는 송/수신을 변환하는 스위치이다.

RF Recive에서는 받은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복조하는 단계이다.

RF Transmit은 기저대역 신호(Baseband signal)을 2.4Gghz로 Up-Convert시켜준다. CMOS의 출력을 높은 출력으로 증폭시켜 안테나에 태워 전송하게 된다. 출력의 증폭이 선형적으로 더 개선되었고 802.11b는 19.5dBm을, 802.11n은 18dBm의 출력을 낸다.

receive에서는 받은 신호를 검출하기 위해 아날로그 receive를 믹서해서 1/2하고 vco와 pll을 거쳐 수신한 신호를 복원(PLL로 동기검파를 하게된다, 수신단에서 송신할때 주파수와 같은 반송파를 만들어서 수신된 신호에서 위상을 추출하여 신호를 복원)하고, transmit에서는 보내기 위해 아날로그 transmit과 믹서해서 2.4Ghz대역으로 변조하게된다. (아날로그와 믹서를 하는 것은 송수신 할때 일종의 신호를 잘받았다, 이런 신호를 보낼것이다 하고 확인을 하는 헤더?프레임을 덧붙이거나 확인하는 과정인듯하다)


ESP 8266 UART
- ESP 8266의 기본 보레이트는 OSC 26Mhz 기준으로 74880의 보레이트를 갖는다. UART1의 TX로 (UART1의 RX는 flash할때 사용해서 따로 사용할수 없다) 초기 상태의 오실레이터 값과 보레이트 값을 알려준다.
- 최대 115200 보레이트에 한번에 40비트를 보낼 수 있다. 따라서 UART로는 최대 4.5Mbps의 속도가 나온다 (115200*40)

-RF의 소비전력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mdkd&logNo=20005590405&proxyReferer=https%3A%2F%2Fwww.google.com%2F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