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4월 23일 화요일

[시험] 네트워크 (1)

1장

- 네트워크와 관련된 기초 용어를 이해한다.
- OSI 7Layer 모델의 필요설을 이해하고, 각 계층의 기능을 살펴본다.
-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기초 의미와 역할을 이해한다.
- 주소의 역할과 기호로 된 이름의 차이와 필요성을 이해한다.
- 주소와 이름을 변환하는 DNS의 필요성을 이해한다.


  • 데이터통신 (Data Communication)
pc와 같은 통신 기능을 갖고 있는 두 개 이상의 Communication device 사이에서 동선이나 광섬유 혹은 무선 링크 등을 포함하는 전송 미디어를 사용하여 정해진 규칙, 통신 프로토콜에 따라 데이터로 표현되는 정보를 교환하는 과정 

  • 프로토콜(Protocol)
전송 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 할 때의 임의의 통신 규칙 
- 상호 연동되는 시스템이 전송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때는 특정규칙을 따른다. 프로토콜의 역할은 프로토콜에 정의된 기능을 수행하면서 필요한 정보를 서로 교환 하는 것 (즉, 무엇을 언제 어떻게 통신할 것인가?에 대한것)


  • 노드(Node)
인터넷에 연결된 시스템의 가장 일반적인 용어
  • 호스트(Host)
컴퓨팅 기능이 있는 시스템
  • 클라이언트(Client)
서비스를 요청하는 시스템
  • 서버(Server)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 인터네트워킹(Internetworking)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를 연결시키고 하나의 데이터통신 기준을 둠으로써 다양한 하드웨어 기술의 결합을 가능하게 해주는 기술

- 서로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두 네트워크가 연동되어 정보를 교환하려면, 이를 적절히 연결하여 데이터 중개를 할수 있다. 이 인터네트워킹 기능을 수행하는 시스템을 일반적으로 게이트웨이 (Gateway)라고 부른다.

  • IP
IP 주소는 네트워크 계층의 기능을 수행하는 IP 프로토콜이 호스트를 구분 하려고 사용하는 주소체계

IPv4는 32bit 크기의 주소체계를 사용한다. 

예) 211.223.201.30





OSI 7 Layer

L1 - PHY (물리계층) 
물리적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
L2 - Data Link (데이터 링크 계층)
물리적 전송 오류를 해결 (오류감지/재전송 기능)
L3 - Newwork (네트워크 계층)
올바른 전송 경로를 선택 (혼잡제어 기능)
L4 - Transport (전송계층)
송수신 프로세스 사이의 연결 기능을 지원
L5 - Session (세션 계층)
대화 개념을 지원하는 상위의 논리적 연결을 지원
L6 - Presentation (표현 계층)
데이터의 표현 방법 (압축/암호화)
L7 - Application (응용 계층)
다양한 응용 환경을 지원




댓글 없음:

댓글 쓰기